다채맘의 주식일기

초보 투자자를 위한 필수 용어 3 _ EPS 주당순이익에 따른 주가의 변동 본문

주식 공부

초보 투자자를 위한 필수 용어 3 _ EPS 주당순이익에 따른 주가의 변동

다채맘 2025. 6. 14. 22:00
반응형

 

 

 

“PER, PBR, EPS... 이게 다 뭐지?”
주식을 공부하다 보면 처음 마주치는 영어 약자들이 많다. 

PER,PBR에 대해서 공부했으니 

이제 EPS에 대해서 알아봤다. 

 

EPS (주당순이익)는 주식 투자의 핵심 지표 중 하나이다.
초보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EPS의 개념부터 실전 활용법까지 정리해봤다. 

 


EPS (Earnings Per Share)란?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 즉 주당순이익을 의미한다.

✔ 계산법: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쉽게 말하면,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한 주당 얼마나 배분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 수치이다.

예시를 들면 
어떤 회사가 올해 순이익 

1,000억 원을 냈고, 발행된 주식이 1억 주라면?
EPS = 1,000억 ÷ 1억 = 1,000원
즉, 이 회사 주식 1주가 ‘1,000원의 이익’을 만들어낸 셈이다.

기업의 수익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EPS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EPS가 높을수록 회사가 실제로 벌어들이는 이익이 많다는 뜻이다.

PER 계산의 기본 재료이다
PER = 주가 ÷ EPS
즉, EPS가 높으면 PER가 낮아지고 

이는 상대적 저평가를 의미할 수 있다.

배당 가능성 판단 기준
EPS가 높아야 회사가 배당할 여력이 생긴다.
EPS가 낮으면 배당 축소 또는 미지급 가능성 커진다.

EPS로 주식 분석하는 방법
1) EPS 성장 추세 확인하기
최근 3~5년간 EPS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지 확인.
EPS가 매년 늘면 안정적인 실적 성장 기업일 가능성 높음.

2) 동종업계 기업과 비교하기
같은 업종 경쟁사들과 EPS 비교.
EPS가 높으면 그만큼 이익 창출 능력이 뛰어나다고 판단.

3) 주가와 비교해 PER 판단하기
EPS로 PER 계산 → 현재 주가가 고평가/저평가인지 확인.
예시: EPS 2,000원, 주가 20,000원 → PER 10배.

EPS 분석 시 주의할 점
✔ EPS가 일시적으로 높아졌을 수 있음 (일회성 이익, 비경상적 수익 등)
✔ 발행주식 수가 변동될 경우 EPS도 변할 수 있음 (유상증자 등)
✔ 자산규모·부채비율 등 다른 지표와 함께 확인 필요

 




초보 투자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최근 3~5년 EPS 성장 여부 꾸준히 증가 = 긍정적
경쟁사 대비 EPS 비교 업계 최고 수준?
PER 계산용 활용 저평가 여부 확인
배당 가능성 확인 EPS 높음 → 배당 여력 좋음



EPS는 기업이 얼마나

‘진짜 돈을 잘 버는가’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EPS가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은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단독 지표로 맹신하기보단 

PER, PBR, ROE 등 다른 재무 지표와 함께 종합 분석하는 것이 안전하다.

 

 



반응형